본문 바로가기

논문2

학술적 글쓰기와 학술자료 에필로그 오늘 포스트는 학술적 글쓰기와 논문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 글은 주로 대학생 또는 대학원생들에게 논문에 대한 기초를 잡아 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학문적인 글쓰기의 개념 먼저 학술적 글쓰기의 개념입니다. 신문기사, 일기, 선언문 등 매우 다양한 글이 있고 그 글을 쓰는 글쓰기 방식 또한 다 다르죠. 이중 학술적 글쓰기는 학문적인 이유로 글을 읽는 독자들을 위한 글쓰기입니다. 즉 이런 독자들을 생각하고 규범에 맞게 쓰는 글을 말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그 규범은 정해져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공부를 위한 글을 일기처럼 쓸 수는 없다는 말입니다. 또 다른 정의는 여기 나오는 논문의 정의와 가장 가까울 것 같습니다. 바로 해당 학문 분야의 주제에 대해 연구하고 도출.. 2022. 7. 31.
학술자료와 학술정보 검색하는 곳 논문을 쓰기 위해서는 수많은 자료가 필요합니다. 그러면 그런 자료들은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요? 국내에서는 학술자료를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학술자료에 대한 의미와 학술자료를 찾을 수 있는 곳을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논문만큼 중요한 학술자료 학술자료는 논문을 말합니다. 소논문도 학위논문도 그리고 학술서적도 포함이 됩니다. 학술자료는 매우 포괄적인 의미로 우선 논문의 읽을 사람에게 풍부하고도 믿을 만한 근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좋은 학술자료는 공신력, 객관성, 대표성, 출처의 명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런 요건들이 없는 자료는 사실상 학술자료라고 할 수 없습니다. 진짜 자료? 가짜 자료? 여기에서 잠깐 학술자료와 학술자료가 아닌 것을 구분해 보자면 이렇습니다. 인터.. 2022.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