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뉴스나 영화를 보다보면 특정 단어가 갑자기 출현하여 그 의미를 자세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그 중에 자주 접하는 단어가 바로 '스모킹건'이다.
한국어 중에는 외래어라는 것이 있는데 외래어는 의미 그대로 외국에서 들어온 말이다. 외국의 언어 중에서 그대로 한국으로 들어온 경우 대개 새로운 무엇인가를 가리키는 단어가 많은데 이럴 경우 한국어로 대체할 수 없는 단어들이 있다. 자국의 언어를 보호하기 위해 최대한 외국어를 쓰기보다는 자국어화를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의미를 원어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때때로 외국어를 외래어로 인식하여 사용하는 것도 좋다. 스모킹건의 경우 '결정적 증거'라는 우리말로 사용할 수 있지만 대중매체를 통해 이미 외래어화 되어 그 사용 양상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스모킹건은 영어로 smoking gun이라고 한다. 스모킹은 '연기가 나'는 의미이고 gun은 '총'을 의미한다. 총구에서 연기가 난다는 것은 총을 발사했다는 증거다. 아궁이에서 연기를 피우면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것과 같다.
이런 경우 총을 발사했고, 아궁이에서 장작을 태웠다는 사실을 부인하기 힘들다. 따라서 '결정적 증거'가 되는 것이다.
반응형
'한국어문법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대 2A 1과 처음 뵙겠습니다 한국어 선생님의 포인트 강의 어휘 부분 1 (0) | 2022.02.24 |
---|---|
글자 시로 시작하는 단어 모음 (0) | 2022.02.11 |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속담 문법 공부 (0) | 2021.01.16 |
네이버 한자 필기 입력기 사용방법 (0) | 2020.10.22 |
A-(으)ㄴ데, V-는데, N인데 : 문법 의미와 활용 그리고 예문 (0) | 2020.10.17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