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쓰기 위해서는 수많은 자료가 필요합니다. 그러면 그런 자료들은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요? 국내에서는 학술자료를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학술자료에 대한 의미와 학술자료를 찾을 수 있는 곳을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논문만큼 중요한 학술자료
학술자료는 논문을 말합니다. 소논문도 학위논문도 그리고 학술서적도 포함이 됩니다. 학술자료는 매우 포괄적인 의미로 우선 논문의 읽을 사람에게 풍부하고도 믿을 만한 근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좋은 학술자료는 공신력, 객관성, 대표성, 출처의 명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런 요건들이 없는 자료는 사실상 학술자료라고 할 수 없습니다.
진짜 자료? 가짜 자료?
여기에서 잠깐 학술자료와 학술자료가 아닌 것을 구분해 보자면 이렇습니다.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사람들은 과거와는 다르게 컴퓨터로 접속하여 아주 쉽게 이런저런 정보들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냥 정보라고 해서 그것이 공신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뉴스에도 진짜와 가짜가 있듯이 자료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우선 학술자료는 그 출처가 명확합니다. 이름과 출처를 명확히 밝혔다는 것은 그 책임을 다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그냥 정보는 출처가 명확하지 않고 따라서 객관성도 공신력 또한 가질 수 없습니다. 그리고 학술정보는 대게가 전문가의 글이거나 단행본 또는 국가에서 공인하는 곳의 자료임에 반해 그렇지 않은 자료들은 인터넷의 개인 블로그에 써놓은 글도 그리고 아는 사람에게 들은 말 등 객관성을 전혀 확보할 수 없는 것들입니다.
학술자료의 유형
이번에는 학술자료의 유형입니다. 여기에는 단행본, 학위논문, 연속간행물이 있습니다. 자료의 형태는 대부분이 인쇄본 또는 전자책 제본이면 데이터베이스도 여기에 속합니다. 그리고 연속간행물에는 신문 등도 포함이 됩니다.
학술정보 검색하는 사이트
대표적인 학술정보 검색 사이트를 알려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논문입니다. 소논문, 학위논문 모두 검색 및 구매,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구글 학술정보
Google 학술 검색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서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라 - 아이작 뉴턴 죄송합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도록 설정하지 않으면 일부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최적의 상태로 사용하려면
scholar.google.co.kr
네이버 학술정보
네이버 학술정보
국내외 학술정보, 논문, 저널 정보 제공
academic.naver.com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CI 국내 학술지 인용색인 정보 포털입니다.
www.kci.go.kr
학술연구정보서비스(한국 교육학술정보원 제공)
RISS(리스,학술연구정보서비스) - 국내·국외 학술정보를 제공하는 대국민 서비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www.riss.kr
다음 신문 또는 뉴스입니다.
빅카인즈
빅카인즈(BIG KINDS)
뉴스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뉴스 속 키워드 관계망, 주요 이슈, 정보원, 이슈 트렌드 분석 정보 제공
www.bigkinds.or.kr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1900년대 옛날 종이 신문 그대로~ 디지털 뷰어로 만나보세요.
newslibrary.naver.com
통계 자료는 여기가 가장 잘 알려진 곳입니다.
국가통계포털
KOSIS 국가통계포털
내가 본 통계표 최근 본 통계표 25개가 저장됩니다. 닫기
kosis.kr
연구보고서
국가정책연구포털
'한국어문법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술적 글쓰기와 학술자료 (0) | 2022.07.31 |
---|---|
토픽(TOPIK) 중급 시험에 자주 나오는 부사 정리 (0) | 2022.06.25 |
한국어 초급 동사와 형용사를 연습할 수 있는 파일 첨부 (0) | 2022.06.25 |
다시 보는 TOPIK 속담 살펴보기 (0) | 2022.04.24 |
서울대 2A 1과 처음 뵙겠습니다 한국어 선생님의 포인트 강의 어휘 부분 1 (0) | 2022.02.24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