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문법수업

서울대 2A 1과 처음 뵙겠습니다 한국어 선생님의 포인트 강의 어휘 부분 1

by $!@@# 2022. 2. 24.
반응형

서울대 한국어 교재를 공부하는 외국인은 아주 많습니다. 그만큼 서울대 한국어 교재가 잘 만들어졌고, 공부하기 좋은 책이라는 증거입니다. 본 포스팅은 교재의 내용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닌 교재에서 모두 풀어내지 못한 중요한 포인트를 공부해 보는 포스팅입니다. 공부하거나 가르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학습목표

1과에서는 소개와 빈도부사를 공부하는 과입니다. 빈도부사! 한국어 학습 초기에 반드시 공부하고 가야 하는 중요한 표현입니다. 문법과 표현에서는 'N(이)라고 하다', 'V-(으)려고'입니다. 사실 'N(이)라고 하다'이 문법은 간접표현에서 배워야 더 빠른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A에서 배우는 이유는 한국인이 아주 많이 사용하는 편한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어 문법은 덩어리로 배우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여러 언어도 사실 그렇지만 한국어는 특히 그렇습니다. 많은 학자들이 한국어에 타언어 같은 문법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V-거나', 'N(이)나'를 배웁니다. 어떻게 사용하는지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수업

 

26쪽 부가 설명

1과에서 배울 어휘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본적인 정보에 대한 어휘가 있습니다.

 

  • 학생카드 : 카드는 CARD로 영어입니다. 이런 어휘를 외래어라고 합니다. 외래어는 외국어가 한국어로 들어와 활용이 될 경우 대체할 수 없는 표현이 없을 경우에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사용합니다.
  • 성명 : 성명은 이름입니다. 같은 표현이지만 어휘가 다를 경우 사용하는 곳이 다를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름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성명은 서류 등 공식적인 표현입니다.
  • 생년월일 : 태어난 해, 월, 일을 한꺼번에 말할 때 사용합니다. 역시나 공식 서류에서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 국적 : 국적은 여권의 이름입니다. 나라, 국적 등 나라를 표현하는 말이 많은데 국적은 소속의 의미가 강합니다. 따라서류에 사용하고 있으며, 내 나라와 내 국적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국적이 법적으로 두 곳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이중국적이라고 합니다.
  • 연락처 : 여기에서 처는 장소를 말합니다. 따라서 연락할 수 있는 곳을 말합니다. 보통 전화, 주소, 이메일 등이 있습니다.
  • 주소
  • 전화
  • 성별 : 성별은 남자와 여자를 말합니다. 별은 다르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성을 구분할 때 사용합니다.
  • 직업
  • 종교
  • 이메일

 

다음은 '매'가 들어간 확장 어휘입니다. 매는 아주 쉬운 단어로 "마다"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매일, 매주, 매달, 매년은 모두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습니다.

 

  • 매일 : 일마다, 날마다, 여기에서 주의할 것은 "일마다"라고 말하지 않고 날마다라고 말합니다. 
  • 매주 : 주마다
  • 매달 : 달마다, 월마다, 달은 이 두가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보통 달마다를 사용합니다.
  • 매년 : 연마다, 해마다, 이것 역시 연마다를 사용하지 않고 해마다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가르칠 때는 반드시 사용하는 것과 안 하는 것을 강조해서 가르쳐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학생들이 일마다, 연마다 등 오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교실

 

예문

나는 매일 한국어를 공부해요.

나는 날마다 아침에 운동을 해요.

 

엄마는 매주 시장에 가요.

엄마는 주마다 백화점에 가요.

 

아빠는 매달 월급을 받아요.

아빠는 달마다 여행을 가요.

 

언니는 매년 해외여행을 가요.

언니는 매년 부산에 가요.

반응형

댓글0